오는 12일부터 '무착륙 국제관광비행'이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말 그대로 비행기 탄 채 외국 하늘만 들렀다 돌아오는 건데요. <br /> <br />우려되는 방역 측면, 그리고 형평성 문제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달 19일) : 장기간 국제선 운항 중단으로 항공·관광·면세업계는 고용 불안 및 기업 생존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. 이들 항공 피해업계를 지원하고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하여 새로운 관광 형태인 무착륙 국제관광비행 도입을 추진합니다.] <br /> <br />업계 숨통 틔워주기 위해서 1년 동안 한시적으로 허용되는데요. <br /> <br />비행 내내 마스크 써야 하고, 물 빼면 기내식도 주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공항 라운지 이용, 마일리지 적립되고 무엇보다 면세 쇼핑도 가능하고, 귀국 시 코로나 검사와 2주 자가 격리 면제된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당장 12일로 예정된 아시아나항공 프로그램을 보면요. <br /> <br />오후 1시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해 부산과 일본 규슈, 제주 상공을 거쳐 오후 4시 20분 돌아옵니다. <br /> <br />가격은 좌석 등급에 따라 25만 원에서 40만 원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허용 당시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2.5단계로 거리두기 높이면서 고속버스나 KTX 같은 장거리 운송 대중교통, 좌석 50% 이내만 예매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페는 포장만 가능하고, 헬스장·노래방처럼 문을 닫는 업종까지 생겼습니다. <br /> <br />몇몇 항공사가 자체적인 좌석 거리두기를 일부 시행하고, 비행 중 유증상자 격리 대비해서 맨 뒤 좌석 세 줄을 비우긴 하지만, <br /> <br />형평성, 방역 차원에서 일부 볼멘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항공업계는 기내 코로나19 전파 확률이 매우 낮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환기 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, 모두 한 방향을 본다는 걸 근거로 드는데요, 전문가의 생각은 좀 다릅니다. <br /> <br />탑승 과정에서의 접촉이나 비행 중 대화와 같은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기모란 / 국립암센터 교수 : 그(탑승) 전후에 아무래도 접촉이 많이 생길 수밖에 없고 화장실이나 이런 걸 이용할 수도 있게 되잖아요. 좁은 비행기 안에 다 같이 모여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공기 전파나 비말 전파는 없다고 해도 접촉은 아무래도 있게 되거든요. 환자 수가 감소한 다음 만들면 어떨까 싶어요.] <br /> <br />앞서 국제항공운송협회, 지난 8일 브리핑을 통해 올해 비행기 탑승으로 44명만 감염됐고, 전체 탑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20913060642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